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4

자본과 자본금, 증자와 감자 구분하기 재무제표를 처음 공부할 때 가장 어려웠던 개념이 자본과 자본금을 구분하는 것이었습니다. 특히, 자본잠식을 계산할 때 자본과 자본금을 구분하지 못하면 엉뚱한 값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자본잠식을 피하기 위해 기업에서는 증자 또는 감자를 하게 되며 이에 자본, 자본금, 증자, 감자에 대한 정의를 정확히 알지 못하면 투자 낭패를 볼 수 있습니다. 자본과 자본금, 증자와 감자 구분하기 1. 자본과 자본금 2. 자본잠식을 피하기 위한 증자 또는 감자 자본과 자본금, 증자와 감자 구분하기 자본잠식 공식은 자본과 자본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에 이를 구분하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요? 증자와 감자는 자본과 자본금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바뀐 자본과 자본금이 증자와 감자에 어떻게 반영되는지 모르면 어떻게 될까요?.. 2023. 4. 1.
증자는 호재인가? 악재인가? 기업의 증자 소식에 주가가 오르기도 하고 내리기도 합니다. 그 이유를 알아야 투자 손실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증자의 개념, 목적 그리고 증자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증자는 호재인가? 악재인가? 1. 증자란 무엇인가? 2. 증자의 목적과 영향 3. 증자 제한 요건, 주식 수 제한 증자는 호재인가? 악재인가? 증자가 주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증자의 목적에 있습니다. 기업이 왜 지금 증자를 해야만 하는지 그 이유를 기업의 홍보자료가 아닌 재무제표를 통해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이유는 기업 홍보자료는 기업의 입장에서 포장된 내용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증자는 기존 주식보다 싼 가격에 발행이 되기 때문에 기존 주주 입장에서는 손해를 본다는 생각을 하기 때문에 주.. 2023. 3. 31.
연결재무제표, 개별(별도)재무제표 개념과 유의 사항 연결재무제표, 개별재무제표를 구분하여 읽을 줄 알아야 상장폐지 해당여부, 재무현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에 이번 글에서는 연결재무제표, 개별재무제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결재무제표, 개별(별도)재무제표 개념과 유의 사항 1. 연결재무제표 개념 2. (중요) 연결재무제표 확인 시 유의사항 2. 개별재무제표(별도재무제표) 연결재무제표, 개별(별도)재무제표 개념과 유의 사항 우리는 하루에도 수많은 투자 정보를 얻으면서 살고 있습니다. 정보가 없어서 투자를 못하는 것이 아니라 너무 많아서 투자를 하기 어렵다는 표현이 어쩌면 우리에게 맞을 것 같습니다. 정보가 많은데 왜 투자하기 어렵냐고요? 바로 정보를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투자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 투자의 기본인 재무.. 2023. 3. 30.
상장폐지 예외 조건 알아보기 간혹 재무제표를 보다 보면 분명 상장폐지 조건인데, 상장폐지가 되지 않는 기업들이 눈에 보이곤 합니다. 굉장히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 상장폐지 조건이 틀린 걸까요? 아닙니다. 그 이유는 바로 기업 유형과 재무제표 유형에 따라 상장폐지 조건에 예외사항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이와 관련한 내용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바로가기] 상장폐지 조건 확인하기 주식투자 손실 예방책, 상장폐지 조건 기업투자 전 상장폐지 가능성만 확인해도 투자에서 투자금을 모두 잃을 위험은 사라집니다. 우리가 재무제표를 보는 이유는 여기에 있습니다. 상장폐지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알아야 할 전자 qa-knowledge-nomad.com 상장폐지 예외 조건 알아보기 1. 기술성장기업 여부 확인 방법 2. 상장폐지 기준이 되.. 2023. 3. 29.